유니티에서 빌드된 에셋번들 파일은 바이너리 형식이기 때문에 어떤 내용이 들어있는지 확인할 수가 없다. 여러가지 이유로 빌드된 에셋번들을 열어볼 필요가 있는 데, 게임 오브젝트 정보부터 쉐이더 정보까지 여러가지를 텍스트로 확인해 볼 수 있다.
툴은 유니티가 설치된 폴더 하위에 Tools라는 폴더에 모두 있다.
Windows:
C:\Program Files\Unity\Editor\Data\Tools
Mac OSX:
/Applications/Unity/Unity.app/Contents/Tools
두 가지 툴을 사용할 필요가 있는데, 윈도우 기준으로 WebExtract.exe와 binary2text.exe이다. WebExtract.exe는 압축된 번들을 풀어주기 위한 툴이고, binary2text.exe는 바이너리파일을 읽을 수 있는 텍스트로 변환해 주는 툴이다.
test_scenebundle이란 에셋번들을 풀어보자.
> WebExtract.exe .\test_scenebundle
Extracting file '.\test_scenebundle'...
stream version: 6
unity version: 5.x.x
unity revision: 2017.4.36f1
data size: 9696101 bytes
creating folder '.\test_scenebundle_data'
All ok!
그러면 같은 폴더내에 test_scenebundle_data라는 폴더가 생기고, 그 안에 씬의 컨텐츠를 포함한 바이너리 파일들이 생성된다.

여기 생성된 바이너리 파일을 이제 binary2text.exe를 통해 text파일로 변환해 보자.
> binary2text.exe .\test_scenebundle_data_data\BuildPlayer-test_scenebundle
> binary2text.exe .\test_scenebundle_data_data\BuildPlayer-test_scenebundle.sharedAssets
이제 다시 test_scenebundle_data 폴더를 들어가 보면, 아래와 같이 txt파일이 생성된 것을 볼 수 있다.

이제 txt파일을 열어 원하는 내용을 검색하여 찾아 볼 수 있다. 아래는 텍스트 파일안에 “test_pos”라는 게임오브젝트에 대한 정보이다.
....
ID: 2 (ClassID: 1) GameObject
m_Component (vector)
size 1 (int)
data (ComponentPair)
component (PPtr<Component>)
m_FileID 0 (int)
m_PathID 224 (SInt64)
m_Layer 8 (unsigned int)
m_Name "test_pos" (string)
m_Tag 1 (UInt16)
m_IsActive 1 (boo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