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dressable을 이용하고 있다면 메모리 관리 측면에서 잘 사용하고 있는지 체크해 볼 필요가 있다. LoadAssetAsync를 통해 해당 키를 가진 번들을 메모리에…
보통 아트 부서에서 ParticleSystem을 이용하여 이펙트를 만들지만, 최적화는 프로그래머가 담당하게 된다. 이때 파티클의 emission 개수나 duration에 대한 조언을 하게 되는데,…
Composite Collider 2D는 Box Collider 2D 또는 Polygon Collider 2D를 사용할 때 하나의 콜라이더로 머지하여 사용할 수 있는 컴포넌트이다. 그러나…
Unity 2019부터 .NET 3.5는 더 이상 지원되지 않고, .NET Standard 2.0과 .NET 4.X가 지원된다. .NET Standard 2.0/.NET 4.X은 Unity 2017까지…
PlayerSettings.SetScriptingDefineSymbolsForGroup을 이용하여 스크립트에 정의된 define을 변경할 때, 컴파일이 되지 않고 변경 전에 define으로 되어 있던 상태의 assembly로 남아있는 경우가 있다.…
환경 Unity 2020.3.7f1 Crashlytics 7.5.0 Xcode 12.2 Unity 2019부터 적용되는 Unity as a Library로 인해 iOS빌드 시에 UnityFramework 타겟의 라이브러리…
환경 Unity 2020.3.7f1 Windows 10 Visual Studio Community 2019 증상 유니티 에디터와 Visual Studio가 열린 상태에서 스크립트가 컴파일 될 때…
환경 Windows 10 Unity 2020.3.7f1 IL2CPP AOS 빌드 증상 Applicaiton.Quit()으로 앱 종료시 랜덤하게 크래시 발생함 Crash Logs 해결 (UnityPlayerActivity 확장을…
유니티에서 빌드된 에셋번들 파일은 바이너리 형식이기 때문에 어떤 내용이 들어있는지 확인할 수가 없다. 여러가지 이유로 빌드된 에셋번들을 열어볼 필요가 있는…
apk 사이즈를 100Mb이하로 유지하기 힘들다면, Android App Bundle을 고려해 보아야 한다 (유니티 블로그). 플러그인도 늘어나고, 그에 따라 라이브러리 사이즈도 점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