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ok. 실리콘밸리를 그리다

‘실리콘밸리를 그리다’(유호현,김혜진,박정리,송창걸,이종호 저)란 책을 처음 봤을 때 그렇게 끌리지 않았다. 실리콘밸리에서 일해 본 것은 아니었지만 구글과 애플에 관한 책을 몇 번 본 적이 있었고, 실리콘밸리에 대한 찬양의 글이 대부분일 것 같아 망설여졌다. 하지만 추천사인가 리뷰에서인가 장점과 단점을 꽤 객관적으로 설명하고 있다는 글을 보고 한번 봐보기로 했다. 5명의 저자와 3명의 특별 기고로 이루어져 있어서 한명에 의한 … Read moreBook. 실리콘밸리를 그리다

Bus Factor와 프로젝트 안정성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에서 사용하는 용어로 Bus Factor 또는 Truck Number라고도 부르는데, 프로젝트에 속한 인원이 버스나 트럭에 치여 사고가 나는 경우, 프로젝트가 진행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수치이다. 버스나 트럭이 나올 정도로 잔혹할 필요가 있을까 생각이 들지만, 일을 못하거나 제외되어야 하는 당위성이 너무 분명하긴 하다. 비슷하게, 육아 휴직이나 병가, 이직, 퇴직 같은 갑자기 일을 할 수 없는 상태가 … Read moreBus Factor와 프로젝트 안정성

플랫폼에 따라 게임성이 다르다면

예전부터 플랫폼 종류나 성능에 관계없이 유저가 느끼는 게임성은 같아야 한다고 생각해왔고 지금도 그렇다. 당연하겠지만, PC에서 하는 A라는 게임과 플레이스테이션에서의 A라는 게임은 유저에게 동일한 경험과 느낌을 주어야 할 것이다. 다만, 플랫폼의 성능에 따라 그 게임의 그래픽 적인 요소는 줄어들 수 있다. 폴리곤 개수가 줄거나, 멀찌감치 있던 배경물들이 좀 사라지거나 말이다. 하지만 10명 나오던 적을 5명으로 줄이진 … Read more플랫폼에 따라 게임성이 다르다면

잘한다는 것

김창옥님이 아래 강연에서 어떤 일을 잘한다는 것에 대한 정의를 이야기 했는데, 뭔가 마음속에 새겨지는 느낌이 들 정도로 인상 깊었다. 김창옥님 왈 “잘한다”는 것은 내가 그것을 좋아하고, 동시에 다른 사람들도 그것을 좋아해야 그 일을 잘한다고 할 수 있다고 한다. 거기에 더하여 자기가 좋아하는 것을 계속 하기 위해서는 잘하는 것을 해야 하고 그래야 평생 좋아하는 것을 할 … Read more잘한다는 것

[Unity] Bezier 곡선 그리기

Bezier 곡선이란 간단히 말해서 2개 이상의 점들로 이루어진 곡선을 말한다. 자세한 내용은 위키를 참고하자. 유니티에서는 하나의 점과 두개의 Tangent 포지션으로 그릴 수 있는데, 아래 두 개의 스크립트를 통해 Beizer 곡선을 구성해 보았다. BezierCurve.cs 각 점에 대한 정보 (위치, Tangent 시작점, Tangent 끝점) Editor/BezierCurveEditor.cs Handles 클래스를 이용하여 Scene상에서 위치 조정 BezierCurve.cs의 소스는 아래와 같다. ShowBezier와 PolyDivisionCount는 … Read more[Unity] Bezier 곡선 그리기

[Steam] 32-bit PC를 지원해야 할까?

저사양 PC 유저를 지원하는 관점에서 32-bit를 지원하는 것은 유저 풀을 넓힐 수 있지만 서비스하는 게임에 따라 고려해야 할 요소들이 있다. 32-bit PC에서 잘 구동될 수 있을 정도로 고사양 게임은 아니어야 하고, 제한된 메모리 공간(4G)안에서 효율적으로 리소스 관리가 되어야 한다. 하지만 얼마나 많은 유저가 32-bit 환경에서 게임을 할까? 전체 유저중 1%가 32-bit 환경이라면 지원하는게 맞을까? 아래는 … Read more[Steam] 32-bit PC를 지원해야 할까?

[번역] Universal References in C++11 — Scott Meyers

원문: Scott Meyers, Universal References in C++11,https://isocpp.org/blog/2012/11/universal-references-in-c11-scott-meyers 번역: ChatGPT-3수정: lunchballer T&&가 항상 “Rvalue 참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by Scott Meyers C++11에서 가장 중요한 새로운 기능 중 하나는 rvalue 참조입니다. 이것은 move semantics과 perfect forwarding이 구축되는 기초입니다. (rvalue 참조, move semantics, 또는 perfect forwarding의 기본 사항을 알지 못하면, 계속하기 전에 Thomas Becker의 개요를 읽으시기를 권합니다.) 구문적으로, rvalue … Read more[번역] Universal References in C++11 — Scott Mey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