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셀과 함께하는 시작해요 언리얼] 2주차 요점 – 퀵셀 메가스캔 사용하기
퀵셀 브릿지로 에셋 추가하기
퀵셀 브릿지 창을 열고, 로그인 후 각종 에셋을 선택하여 사용 가능하다. 다운로드 후에 Add를 통해 프로젝트에 추가할 수 있고, 유저 아이콘을 클릭 후 Preferences를 통해 에셋 다운로드 위치를 지정할 수 있다.
![](https://i1.wp.com/lunchballer.com/wp-content/uploads/2022/06/image-17.png?w=1170&ssl=1)
![](https://i2.wp.com/lunchballer.com/wp-content/uploads/2022/06/image-18.png?w=1170&ssl=1)
![](https://i2.wp.com/lunchballer.com/wp-content/uploads/2022/06/image-19.png?w=1170&ssl=1)
![](https://i1.wp.com/lunchballer.com/wp-content/uploads/2022/06/image-20.png?w=1170&ssl=1)
Nanite로 프로젝트를 추가하지 않았을 때 Nanite로 변경하는 방법
해당 Static Mesh를 찾아 마우스 우클릭을 통해 Nanite로 활성화한다.
![](https://i2.wp.com/lunchballer.com/wp-content/uploads/2022/06/image-21.png?w=1170&ssl=1)
프로젝트 뷰에서 필터를 통해 특정 타입 필터링하기
에셋 폴더가 늘어날 경우 각각 폴더의 Static Mesh를 선택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필터 기능을 활성화 하여 원하는 타입만 보이도록 처리할 수 있다.
![](https://i2.wp.com/lunchballer.com/wp-content/uploads/2022/06/image-22.png?w=1170&ssl=1)
에셋의 메터리얼을 통해 색 변경하기
원하는 에셋의 메터리얼을 더블 클릭하여 Albedo를 조절한다. 채도, 명도, 대비, 색상등을 조절할 수 있다.
![](https://i1.wp.com/lunchballer.com/wp-content/uploads/2022/06/image-23.png?w=1170&ssl=1)
![](https://i2.wp.com/lunchballer.com/wp-content/uploads/2022/06/image-24.png?w=1170&ssl=1)
에셋의 콜리전을 추가하여 플레이어와 충돌 처리하기
Static Mesh를 더블 클릭하여 Static Mesh 창을 열고 Auto Convex Collision을 추가한다. 세밀한 콜리전으로 변경하려면 Collision Complexity를 Use Complex Collision As Simple로 바꾼다.
![](https://i1.wp.com/lunchballer.com/wp-content/uploads/2022/06/image-25.png?w=1170&ssl=1)
![](https://i2.wp.com/lunchballer.com/wp-content/uploads/2022/06/image-26.png?w=1170&ssl=1)
3D Plants 카테고리의 에셋을 추가하고 Foilage로 배치하기
3D Plants 카테고리에서 각종 식물들을 배치할 때, 하나씩 배치하는 것은 많은 시간을 소비하기 때문에 Foilage 기능을 통해 다량의 식물을 원하는 방식으로 배치할 수 있다. Foilage 메뉴를 선택 후 브러쉬 사이즈, 각 오브젝트의 Min/Max 사이즈, 최대 배치 개수등을 설정할 수 있고, 마우스 클릭으로 적절히 배치 가능하다. 배치후 삭제가 필요할 때는 Shift를 누르고 마우스 좌클릭을 통해 삭제 할 수 있다.
![](https://i0.wp.com/lunchballer.com/wp-content/uploads/2022/06/image-27.png?w=1170&ssl=1)
![](https://i0.wp.com/lunchballer.com/wp-content/uploads/2022/06/image-28.png?w=1170&ssl=1)
식물 오브젝트에 바람 효과 넣어주기
식물이 그대로 배치만 되고 움직이지 않으면 생동감이 떨어지기 때문에 바람 효과를 추가하여 살랑살랑 바람을 타는 움직임을 넣어 줄 수 있다.
![](https://i2.wp.com/lunchballer.com/wp-content/uploads/2022/06/image-29.png?w=1170&ssl=1)
마우스 휠 버튼을 통한 길이 측정
뷰를 전환하여 (Top/Bottom/Left/Right/Front/Back) 원하는 지역의 길이를 측정할 수 있다. 마우스 휠 버튼을 클릭한 상태에서 드레그 하면 길이 단위로 숫자가 노출된다.
![](https://i2.wp.com/lunchballer.com/wp-content/uploads/2022/06/image-30.png?w=1170&ssl=1)
원하는 해상도의 스크린샷 기능
틸트(~) 버튼을 눌러 커맨드 모드를 활성화 하고 아래와 같이 커맨드 라인으로 스크린 샷을 찍을 수 있다.
> HighResShot 3840 x 2160